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본 게임 대상

덤프버전 :

분류

파일:WPVG_icon.png 문서가 존재하는 게임 시상식 목록
BAFTAD.I.C.E.GDCGJAIGFJGAKGATGA



파일:cesa_logo2.png

1. 개요
2. 수상 목록
2.1. CESA 대상 '96(1997)
2.2. CESA 대상 '97(1998)
2.3. 제3회 CESA 대상(1999)
2.4. 제4회 일본 게임 대상(2000)
2.5. 제5회 일본 게임 대상(2001)
2.6. 제6회 CESA GAME AWARDS(2002)
2.7. 제7회 CESA GAME AWARDS(2003)
2.8. 제8회 CESA GAME AWARDS(2004)
2.9. 제9회 CESA GAME AWARDS(2005)
2.10. 일본 게임 대상 2006
2.11. 일본 게임 대상 2007
2.12. 일본 게임 대상 2008
2.13. 일본 게임 대상 2009
2.14. 일본 게임 대상 2010
2.15. 일본 게임 대상 2011
2.16. 일본 게임 대상 2012
2.17. 일본 게임 대상 2013
2.18. 일본 게임 대상 2014
2.19. 일본 게임 대상 2015
2.20. 일본 게임 대상 2016
2.21. 일본 게임 대상 2017
2.22. 일본 게임 대상 2018
2.23. 일본 게임 대상 2019
2.24. 일본 게임 대상 2020
2.25. 일본 게임 대상 2021
2.26. 일본 게임 대상 2022
2.27. 일본 게임 대상 2023


1. 개요[편집]


공식 사이트(일본어)

일본 게임 대상은 그 해의 뛰어난 컨슈머 게임 작품에 수여되는 상으로, 사단 법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협회(CESA)가 개최하고 있다. 말 그대로 일본 게임 업계의 진정한 GOTY. 전형 위원장은 요오로 타케시가 맡고 있다.

1996년에 CESA 대상으로 처음 개최. 제4회(1999년)에서 한 번 일본 게임 대상이라는 명칭으로 변경됐다. 제6회(2001~2002년)부터는 대상 기간을 이듬해 3월까지(즉 제7회 이후는 4월부터 1년)로 변경하고 CESA GAME AWARDS라는 명칭으로 개최. 그리고 제10회(2006년도)에서 다시 일본 게임 대상이란 명칭이 됐다. 제12회(2008년도)부터는 JAPAN 국제 콘텐츠 페스티벌의 공식 행사로 개최된다.

주요 수상작들 중에는 인기와 질적 수준이 높고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게임들이 많으나,[1] 온라인 게임이나 모바일 게임들이 많은 대한민국 게임대상과는 달리 가정용 게임이나 휴대용 게임 등의 콘솔 게임 위주로 편중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닌텐도 사의 게임들이나 닌텐도 게임기로 나온 다른 서드파티들의 게임들,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몬스터 헌터 시리즈 등을 주로 수상한다. 때문에 너무 한 쪽 장르나 프랜차이즈 시리즈들만 수상을 해준다는 비판도 있는 편.[2][3]

주요 수상 부문 중 경제산업대신상[4]은 2008년에 신설되었으며, 이전까지는 게임에만 상을 준 것을 보완하여 일본 게임산업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 혹은 단체를 대상으로 한다.

게임 디자인 대상의 경우는 2010년에 사쿠라이 마사히로 주도로 설립된 상이며, 기존의 상에서 결여된 독창성, 참신성 위주로 평가하는 상이다. 2020년의 경우 카미야 히데키, 코다카 카즈타카, 사쿠라이 마사히로, 타쿠미 슈, 미야자키 히데타카, 요코오 타로 등 게임계에서 긴 경력을 쌓은 10명이 심사위원을 맡고 있다.


2. 수상 목록[편집]



2.1. CESA 대상 '96(1997)[편집]


상명수상작수상업체플랫폼
작품상사쿠라 대전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부문별감독상사쿠라 대전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프로그래밍NiGHTS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그래픽NiGHTS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시나리오바이오하자드주식회사 캡콤플레이스테이션
사운드파라파 더 래퍼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메인캐릭터사쿠라 대전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서브캐릭터사쿠라 대전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특별상뉴콘셉트파라파 더 래퍼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포켓몬스터닌텐도 주식회사게임보이
스탠다드사쿠라 대전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장르별액션슈퍼 마리오 64닌텐도 주식회사닌텐도 64
스포츠데카슬릿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격투철권 2주식회사 남코플레이스테이션
RPG슈퍼 패미컴 드래곤 퀘스트 3 그리고 전설로주식회사 에닉스슈퍼 패미컴
시뮬레이션더비 스탈리온 96주식회사 아스키슈퍼 패미컴
퍼즐뿌요뿌요 2 결정판주식회사 컴파일플레이스테이션
어드벤처바이오하자드주식회사 캡콤플레이스테이션
레이싱마리오 카트 64닌텐도 주식회사닌텐도 64
슈팅버추어 캅 2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세가 새턴
보드모모타로 전철 HAPPY주식회사 허드슨슈퍼 패미컴
교육라이프 스케이프 생명 40억년 머나먼 여행미디어 퀘스트플레이스테이션
버라이어티남코 뮤지엄 시리즈주식회사 남코플레이스테이션


2.2. CESA 대상 '97(1998)[편집]


상명수상작수상업체플랫폼
대상파이널 판타지 VII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우수상I.Q ~ 인텔리전트 큐브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그란 투리스모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그란디아주식회사 게임아츠세가 새턴
전차로 GO!주식회사 타이토플레이스테이션
요시 스토리닌텐도 주식회사닌텐도 64
부문별프로그래밍그란 투리스모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시나리오파이널 판타지 VII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그래픽그란 투리스모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사운드파이널 판타지 VII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캐릭터바람의 크로노아주식회사 남코플레이스테이션
심사원특별상울티마 온라인일렉트로닉 아츠 스퀘어[5]Windows
더비 스탈리온주식회사 아스키플레이스테이션
몬스터팜테크모 주식회사플레이스테이션


2.3. 제3회 CESA 대상(1999)[편집]


상명수상작수상업체플랫폼
대상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닌텐도 주식회사닌텐도 64
우수상R4 ~ 릿지 레이서 타입 4주식회사 남코플레이스테이션
바이오하자드 2주식회사 캡콤플레이스테이션
비트매니아코나미 주식회사플레이스테이션
피카츄 건강해츄닌텐도 주식회사닌텐도 64
메탈기어 솔리드코나미 주식회사플레이스테이션
부문별시나리오거리 ~운명의 교차점~주식회사 춘소프트세가 새턴
프로그래밍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닌텐도 주식회사닌텐도 64
그래픽R4 ~ 릿지 레이서 타입 4주식회사 남코플레이스테이션
캐릭터피카츄 건강해츄닌텐도 주식회사닌텐도 64
사운드비트매니아코나미 주식회사플레이스테이션
심사원특별상크래쉬 밴디쿳 3 ~날아라! 세계일주~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6]플레이스테이션
소닉 어드벤처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드림캐스트
드래곤 퀘스트 몬스터즈 : 테리의 원더랜드주식회사 에닉스게임보이


2.4. 제4회 일본 게임 대상(2000)[편집]


상명수상작수상업체플랫폼
대상어디서나 함께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우수상어디서나 함께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씨맨 ~금단의 애완동물~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비바리움
드림캐스트
Dance Dance Revolution코나미 주식회사플레이스테이션
파이널 판타지 VIII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포켓몬스터 금·은닌텐도 주식회사게임보이
부문별게임 디자인어디서나 함께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프로그래밍소울 칼리버주식회사 남코드림캐스트
그래픽성검전설 Legend of Mana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영상파이널 판타지 VIII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캐릭터토로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시나리오발키리 프로파일주식회사 에닉스플레이스테이션
사운드Dance Dance Revolution코나미 주식회사플레이스테이션
최우수 뉴웨이브상씨맨 ~금단의 애완동물~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비바리움
드림캐스트
뉴웨이브상씨맨 ~금단의 애완동물~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비바리움
드림캐스트
어디서나 함께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Dance Dance Revolution코나미 주식회사플레이스테이션
특별상해외작품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에이지 오브 킹마이크로소프트Windows
베스트 게이머이주인 히카루(伊集院光)
레이카 나카지마(中島礼香)


2.5. 제5회 일본 게임 대상(2001)[편집]


상명수상작수상업체플랫폼
대상판타시 스타 온라인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드림캐스트
우수상고기동환상 건퍼레이드 마치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젤다의 전설 무쥬라의 가면닌텐도 주식회사닌텐도 64
드래곤 퀘스트 VII 에덴의 전사들주식회사 에닉스플레이스테이션
파이널 판타지 IX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판타시 스타 온라인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드림캐스트
부문별게임 디자인판타시 스타 온라인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드림캐스트
프로그래밍판타시 스타 온라인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드림캐스트
그래픽성검전설 Legend of Mana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영상파이널 판타지 IX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사운드파이널 판타지 IX주식회사 스퀘어플레이스테이션
캐릭터미스터 드릴러주식회사 남코플레이스테이션, 드림캐스트, 게임보이
시나리오드래곤 퀘스트 VII 에덴의 전사들주식회사 에닉스플레이스테이션
패키지 디자인나의 여름방학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최우수 뉴웨이브상판타시 스타 온라인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드림캐스트
뉴웨이브상데굴데굴 커비닌텐도 주식회사게임보이
판타시 스타 온라인주식회사 세가 엔터프라이즈드림캐스트
나의 여름방학주식회사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플레이스테이션
해외작품디아블로 2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PC
최우수 크리에이터호리이 유지
특별상베스트 게이머가와사이 가이덴(河相我聞)
시바타 아미(柴田亜美)
최우수 판매드래곤 퀘스트 VII 에덴의 전사들주식회사 에닉스플레이스테이션
인기드래곤 퀘스트 VII 에덴의 전사들주식회사 에닉스플레이스테이션

2.6. 제6회 CESA GAME AWARDS(2002)[편집]




2.7. 제7회 CESA GAME AWARDS(2003)[편집]




2.8. 제8회 CESA GAME AWARDS(2004)[편집]




2.9. 제9회 CESA GAME AWARDS(2005)[편집]




2.10. 일본 게임 대상 2006[편집]




2.11. 일본 게임 대상 2007[편집]




2.12. 일본 게임 대상 2008[편집]




2.13. 일본 게임 대상 2009[편집]




2.14. 일본 게임 대상 2010[편집]




2.15. 일본 게임 대상 2011[편집]




2.16. 일본 게임 대상 2012[편집]




2.17. 일본 게임 대상 2013[편집]




2.18. 일본 게임 대상 2014[편집]




2.19. 일본 게임 대상 2015[편집]




2.20. 일본 게임 대상 2016[편집]




2.21. 일본 게임 대상 2017[편집]




2.22. 일본 게임 대상 2018[편집]




2.23. 일본 게임 대상 2019[편집]




2.24. 일본 게임 대상 2020[편집]




2.25. 일본 게임 대상 2021[편집]




2.26. 일본 게임 대상 2022[편집]




2.27. 일본 게임 대상 2023[편집]





[1] 다만 일본 게임의 전 세계적인 인기도보다는 일본 내에서만의 인기도와 대중성을 중요시하는 편이다.[2] PS3 게임 수상작 중에는 메탈기어 솔리드 4가, PS Vita 게임 수상작 중에는 GRAVITY DAZE가 유일하다.[3] 엑스박스 시리즈의 경우 일본에선 인지도가 좀 떨어지는 게임기다 보니, 이 기종으로 나온 일본 게임들은 한 번도 수상을 한 적이 없다.[4] 우리로 따지면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5] EA가 일본에 직접 주식회사를 설립하기 이전에 스퀘어와 협력했던 시절의 회사명이다.[6] 제작은 너티 독이 했지만 발매를 소니가 했다.[7] GBA와 연동해서 플레이하는 기능이 있다.[8] 일본 유통을 캡콤이 맡았다.[9] 비디오 게임이지만 기종 플랫폼이 따로 정해져있지 않으며, 그냥 검신 드래곤 퀘스트를 사다가 본체를 TV위에 놓고 연결하면 그냥 게임이 되는 식이다.[10] 2008년 신설[11] 2010년 신설[12] 일본 PS4 유통을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가 맡았다.[13] 일본 유통을 스파이크 춘소프트가 맡았다.[14] 일본 유통을 스퀘어 에닉스가 맡았다.[15] 일본 PS4 유통을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가 맡았다.